'콜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는 정부, 기업, NGO 등의 주체들이 특정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도록 공동 아젠다를 가지고 문제에 접근하고, 협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ESG에 포함된 개념 중 특히 사회(S;Social) 측면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개별 조직의 단독 개입보다 더 큰 규모의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한 협력 모델로 복잡한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조적 해결 방법으로 평가된다.
'콜렉티브 임팩트'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5가지 조건들이 필요하다.
먼저 ‘공통 아젠다(Common Agenda)’가 있어야 한다. 참여자들은 이 문제에 대한 공통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의 목표를 공유한다. 또한 참여 주체별로 역할을 분담하여 '상호 강화 활동(Mutually Reinforcing Activities)'을 해야 한다. 이 활동은 각 참여자가 자신의 강점에 따라 역할을 분담하고 협력하게 만든다. 신뢰와 협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이고, 투명한 '지속적인 소통(Continuous Communication)'도 특히 강조한다. 이렇게 문제 해결 중 만든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지표와 방법론도 공유(Shared Measurement System)'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체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협력을 조율하고 지원하는 '독립적 조직(Backbone Organization)'의 마련이 필요하다.
by Editor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