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on lunchbox
오늘 배우는 ESG 키워드
국가기후계획
2025.04.04

'국가기후계획'은 우리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우리 사회를 탄소중립사회로 전환시키기 위해 수립한 세 가지 전략이다. 우리 정부는 '제 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대책(2026~2030)'의 추진을 앞두고 있다. 정부는 5년마다 ‘기후위기 적응 대책’을, 각 지자체는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ㆍ시행하도록 규정하고, 각 부처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 매년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이 대책에는 '기후위대응 종합계획'과 '기후 기술 기본계획' 등도 포함된다. 이 모든 계획의 목표는 2050년 탄소중립달성과 녹색성장의 실현이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해서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은 기후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적응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한다. 기후변화 감시, 예측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농업, 수자원, 생태계 적응 전략을 수립했다. 정부발표에 따르면 2025년 기술개발 비용만 2조 7,496억 원에 이를 예정이다.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신기술의 개발은 '기후 기술 기본계획'으로 진행된다. 현재 중장기적 정책목표를 설정한 우리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기술, 재생에너지, 원자력,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원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것이다. 


국가기후계획은 우리 정부가 앞으로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책임감 있는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목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방향을 보여주며, 민간 주도의 혁신적 탄소중립, 녹색성장 지원, 국제 사회와의 능동적 협업과 대처의 가늠자가 될 것이다.


by Editor O


이 기사를 공유할게요
확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