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단순한 ESG 활동의 결과물이 아니다. 이는 기업의 전략, 운영, 공시 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경영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자기 규율을 촉진하는 수단이자 이해관계자와의 적극적인 소통 창구로 기능한다.
이치한, ESG행복경제연구소장
고탄소 산업은 점점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고, 국가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저탄소 기술은 집중 개발해야 할 것이다.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부회장
행복의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는 것이다.
레오 톨스토이, 작가
사소한 행동이라도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실천하면 세상을 변화시킬 힘이 된다.
하워드 진, 역사학자
ESG의 장기적인 동력은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증가하는 투자자 수요, 지속가능성을 향한 글로벌 모멘텀, 그리고 ESG와 재무성과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한다.
칼로타 코스타, Dimita ESG 부문 이사
ESG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곧 사업기회 상실로 이어지는 시대가 왔다.
방수인, SK C&C 디지털 ESG 그룹 리더
ESG를 별도의 업무로 여기는 순간, 실천은 멀어진다.
서욱, 에코나인 대표
ESG의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 모든 활동은 자발적이고 즐거워야 한다. 그리고 우리 내부만의 활동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문화가 되어야 한다.
백지희, 썸코리아 대표
ESG는 들판의 꽃을 포함해 나무와 숲 전체를 가꾸고 키우는 일이다.
유승권, 이노소셜랩 ESG센터장
지속가능한 친환경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기존 선형경제에서 벗어나 순환 경제 모델을 확립시키는 것이다.
안영호, 울산중구의원
기후행동은 비용이 아닌 기회이며, 녹색성장은 타협이 아닌 혁신의 출발점이다.
김상협,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
기업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밀턴 프리드먼, 경제학자
ESG의 모든 개념을 인권으로도 담아낼 수 있다.
송세련,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입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ESG 반영을 위한 회계 시스템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
조지 세라핌,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ESG는 확실히 비즈니스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부분이다.
아데나 프리드먼, 나스닥 CEO
ESG 정보공시 의무화에 대응하는 역량이 향후 기업의 지속성장을 좌우하는 시대를 맞이했다.
이동석 부대표, 삼정KPMG ESG비즈니스그룹 리더
기후전환의 주체는 정부나 기업이 아닌 시민이어야 하며, 이 전환이 누구도 소외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진짜 지속가능성이 완성된다.
지용승, 우석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지속가능성은 환경 보존을 위한 것 뿐 아니라 아티스트와 팬들이 요구이기도 하다.
짐 킹, AEG 유럽페스티벌 총괄
도시들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함께 힘을 합쳐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의 가격을 낮춰야 한다.
켄 리빙스턴, 전 영국 런던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