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과 중국에 85%가량 편중되어 있는 에너지 투자를 아프리카 등에 고르게 배분하여야 에너지 삼중고를 해결하며, 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수 있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사무총장
재활용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 순환경제를 실현하는 핵심 요소다. 이를 통해 자원 낭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
한성희, 포스코건설 전 대표이사
모든 존재가 서로 의지하고 관계를 맺고 있기에 공생적 ESG 경영은 사회의 이익 증가와 행복을 위한 종합적 노력이다.
선지 스님, 저서 <붓다 경영>에서
기업에게 2024년은 혹독한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였다면, 2025년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과 지속가능 전략의 구축을 목표로 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이 될 것이다.
강영기, 한국ESG연구소 전문위원
ESG 정보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선 표준화된 정보가 있어야 한다.
김의형, 전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ESG는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 규제환경에서 우리 경제와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필수' 요소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ESG가 기업의 전반적인 역량을 평가하는 중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송두삼,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지속 가능성이나 환경 보존 문제가 '규정 준수'와 관련된 리스크로 여겨지는 기조는 사라지고 있으며, 일반 사업 전략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션 케인, 맥킨지앤컴퍼니 파트너
ESG는 이제 개별 기업의 이슈가 아니라 산업 생태계의 이슈로 바뀌었다.
박종면, 머니투데이 대표
강해진 수요에 비해 ESG 정보 공급은 양적, 질적인 면에서 모두 부족하므로 표준화의 필요성이 절실합니다.
김의형,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기업경영 ESG, 거버넌스를 위한 국가경영의 ESG, 다음 세대를 위한 ESG 교육으로 가야 한다.
김승진, 서강대 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은 함께 손을 잡고 갈 것이다.
마빈 앨리스 로위, 에너지 인프라 기업 윌리엄스 컴퍼니스 전 CEO
ESG는 자기 이익을 챙기는 똑똑한 투자자와 기업의 만남입니다. 장기적 수익률을 극대화하려는 투자자들에게서 시작됐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조신,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 비전과 직결되는 이슈입니다. CEO를 포함한 경영진 전체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
ESG를 ‘착한 일’ 하자는 단순한 구호나 여유가 있어서 하는 선택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기업이 달성해야 할 지향점과 목표로 여겨야 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소비자들이 환경경영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혜미,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경영이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기업의 특색에 맞춘 차별화된 ESG 전략이 필요합니다. 백화점식 나열보다는 기업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접근이 중요합니다.
김홍균,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